고향사랑기부제 매거진
추석 보너스, 세금으로 '이만큼' 떼입니다 (상여금 세금 계산법 총정리)
- 2025.09.13
- By 컨텐츠팀
-
-
-
-
-
- 2025.09.13
- By 컨텐츠팀
"이번 추석 보너스, 두둑하게 들어왔네!"
오랜만에 받은 보너스에 기뻐하는 것도 잠시, 월급명세서를 보고 깜짝 놀라신 분들 많으시죠?
평소 월급보다 훨씬 더 많은 금액이 '세금'으로 빠져나간 것을 보고 "내 보너스, 다 어디 갔지?" 하는 생각에 허탈해지기도 합니다.
대체 왜 상여금에서는 세금을 더 많이 떼는 걸까요? 오늘, 알쏭달쏭한 상여금 세금의 비밀과 함께, 보너스로 낸 세금을 연말에 다시 돌려받는 현명한 재테크 비법까지 A to Z까지 알려드립니다.
✨핵심 요약!
1️⃣ 추석 상여금(보너스)도 월급과 같은 '근로소득'이라, 소득세는 물론 4대 보험료까지 모두 부과됩니다.
2️⃣ 보통 상여금이 지급되는 달에는, 일시적으로 소득이 높아진 것으로 간주되어 더 높은 세율이 적용될 수 있어요.
3️⃣ 하지만 걱정 마세요! 더 낸 세금은 연말정산을 통해 대부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
4️⃣ 보너스로 낸 세금, 고향사랑기부제로 미리 '예약'해서 13만원의 혜택으로 돌려받는 것이 최고의 재테크!
목차
내 보너스, 왜 이렇게 많이 떼이나요? (상여금 세금의 비밀)
그래서, 더 낸 세금은 언제 돌려받나요?
보너스로 낸 세금, '더 크게' 돌려받는 법 (고향사랑기부제)
1. 내 보너스, 왜 이렇게 많이 떼이나요? (상여금 세금의 비밀)
결론부터 말하면, 상여금에만 특별히 더 높은 세율이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.
상여금도 근로소득에 포함되기 때문에, 기본적으로는 자신의 소득세율 구간에 맞춰 세금이 원천징수됩니다.
국민연금, 건강보험 등 4대 보험료 또한 상여금을 기준으로 함께 계산되어 빠져나갑니다.
다만, 상여금이 지급되는 달에는 '월급+상여금'으로 총소득이 일시적으로 크게 늘어나게 됩니다.
이때 회계 처리 방식에 따라, 해당 월에 한해 더 높은 소득세율 구간을 적용하여 세금을 미리 떼는 경우가 많습니다.
2. 그래서, 더 낸 세금은 언제 돌려받나요?
이렇게 더 낸 세금은 사라지는 돈이 아닙니다.
바로 '연말정산' 을 통해 돌려받게 됩니다.
연말정산은 '신용카드 소득공제(15~40%)', '의료비 세액공제(15%)' 등 다양한 공제 항목을 반영하여, "내가 1년 동안 벌어들인 총소득에 맞는 정확한 세금"을 다시 계산하는 과정입니다.
상여금 때문에 일시적으로 더 냈던 세금은, 이 과정에서 정산되어 대부분 환급금의 형태로 돌아오게 되니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.
3. 보너스로 낸 세금, '더 크게' 돌려받는 법 (고향사랑기부제)
보너스로 낸 세금을 연말정산 때 돌려받는 것을 넘어, 오히려 더 큰 혜택으로 '불려서' 돌려받는 방법이 있습니다
바로 '고향사랑기부제' 입니다.
고향사랑기부제는 내가 현재 사는 곳을 제외한 다른 지역에 기부금을 전하면, 연간 최대 10만원까지 전액 세액공제(10만원 초과분은 16.5% 추가 공제) 혜택과 함께, 기부한 금액의 30% 이내에서 그 지역의 특색있는 답례품도 받을 수 있는 매력적인 제도랍니다.
즉, 10만원을 기부할 경우 13만원(10만원 세액공제+3만원 답례품)의 가치를 돌려받는, 무조건으로 득을 보는 제도인 셈이죠.
이 모든 과정은 행정안전부 공식 지정 고향사랑기부제 플랫폼 '위기브'를 통하면 아주 간편합니다.
위기브에서는 무려 2,000개에 달하는 답례품들이 보기 쉽게 지역별로 정리되어 있어요.
또한 네이버페이·카카오페이와 같은 간편결제를 지원하는 덕에 클릭 몇 번이면 기부를 마칠 수 있죠.
복잡한 절차나 공인인증서도 필요 없고, 연말정산 자료까지 자동으로 등록되니 정말 편리하답니다.
추석 보너스로 낸 세금, 고향사랑기부제로 미리 예약해서 13만원의 혜택으로 돌려받는 스마트한 계획을 세워보는 건 어떨까요?
#고향사랑기부제 #고향사랑기부 #연말정산 #세액공제 #답례품
- #추석 상여금
- #추석 보너스
- #상여금 세금
- #4대보험
- #연말정산
- #세액공제
- #절세
- #고향사랑기부제
댓글 공통